자격증/DAP

[DAP] 과목1 전사아키텍처 이해 - 제 2장 - 제 2절 데이터아키텍처 정보 구성 정의

뜽배 2025. 3. 8. 15:58
728x90
반응형

DAP(Data Archtecture Professional) 책을 통해 내가 공부한 내용을 요약한 것 

 

제 2장 - 데이터아키텍처 구축


제1장 전사아키텍처와 데이터아키텍처

제 2장 데이터아키텍처 구축

제 3장 데이터 거버넌스


제 1절 데이터아키텍처 방향 수립

제 2절 데이터아키텍처 정보 구성 정의

제 3절 데이터아키텍처 구축 프로세스


1. 데이터아키텍처 정보 구성 개요

데이터아키텍처 정보는 대상 데이터를 최상위 개괄적 모습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상세화하여 전사의 데이터를 해석하고 이해하기 쉽게 체계화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데이터아키텍처 정보를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 관리하는데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면, 데이터아키텍처 정보를 관리하는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2. 데이터아키텍처 매트릭스 정의

* 데이터아키텍처 매트릭스 개념

  데이터아키텍처 매트릭스는 데이터아키텍처 프레임워크 핵심 구성요소로, 전사적 데이터를 설명하는 모델과 원칙 정보를 통일된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논리적 틀이다.

 

* 산출물 정의

  데이터아키텍처 매트릭스 구성 사례

  데이터 표준 데이터 구조 데이터 흐름 데이터 관리
CDA
(Chief Data Architect)
(개괄적 관점)
데이터 표준화 원칙 개괄 모델
주제 영역
데이터 통합 구조도 데이터 관리 정책
DA
(Data Architect)
(개념적 관점)
데이터 모델링 원칙
DB명명 규칙
개념 모델 데이터 흐름도 데이터 표준 관리
요구사항관리
Modeler
(논리적 관점)
표준 단어
표준 용어
논리 모델 아웃바운드/
인바운드
데이터 정의서
데이터 모델 관리
데이터 흐름 관리
DBA
(물리적 관점)
표준 도메인
표준코드
물리모델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베이스 관리
User
(운용적 관점)
  사용자 뷰    

 

* 데이터아키텍처 의사결정 유형

1) CDA

 - 데이터 관리 총괄

 - 데이터 관리 정책 및 지침 마련

2) DA 

 - 표준 개발 및 형상 관리

 - 검증, 표준화 절차 수립

 - 전사 데이터 모델 통합

3) Modeler

 - 데이터 요구사항 및 이슈 사항 조정과 통합

 - 데이터 모델링 수행

 - 표준 확인 및 적용

4) DBA

 - 데이터 베이스 디자인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형상 관리

 -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및 튜닝

5) User

 - 서비스되는 데이터 및 운영 분석에 데이터 활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