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86

[ms-sql] DB를 다른 DB명으로 복원

ms-sql DB를 다른이름으로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DB전체 백업 우선 복원하고자 하는 DB 전체백업을 받아줍니다. DB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백업 백업 스케쥴이 있다면 '복시전용백업'을 선택하여 백업 스케쥴에 영향이 없도록 한다. 2. 다른이름으로 복원 만들고자 하는 DB 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복원 -> 데이터베이스 이 때 디바이스를 체크하여 마지막으로 백업받은 .bak파일을 선택해도 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여 마지막으로 백업받은 파일을 자동으로 찾아서 복원해도 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에 _old를 붙여 DB명을 변경시켜 준다. 파일 탭 -> 다음으로복원 파일 확인 파일 탭에서 다음으로 복원하는 파일명을 꼭 확인하여야 한다. 새로운 DB이기 때문..

[ms-sql] 복구모델 '단순' 일 때 복원방법

우선 ms-sql에서 복구모델이 '단순'일 때는 트랜잭션 로그 백업을 받을 수 없다. 복구모델이 '단순'일 때 백업화면을 보면 위와 같이 '전체', '차등' 두 개의 백업을 선택할 수 있다. 내가 궁금해 한 것은 이 부분이다. 복구모델이 '단순'이더라도 트랜잭션 로그가 쌓이는 건 분명하다. 복구모델이 '단순'이면 트랜잭션이 완료되었을 때 사라진다. 그럼 트랜잭션이 완료 되지 않고 트랜잭션 로그에 쌓인 상태에 전체백업을 받으면 어떻게 될까? 이게 내가 가진 의문이였다. 따라서 테스트를 진행해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DB에서 transaction을 수행 후 종료하지 않았다. 1. 트랜잭션 시작 후 종료하지 않음 /* 트랜잭션 시작*/ create table a (a varchar(100), b varch..

[ms-sql] 복구모델 '전체' 일 때 복원방법

복구모델이 '전체' 일 때 복원방법은 3가지가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해보자. 우선 AdventureWorks2022_2 라는 DB가 있고 이 DB는 복구모델이 '전체'이다. 이 DB를 전체백업을 먼저 받는다. 그리고 이 DB가 운영중인 DB라서 변경이 발생 했다고 하자, 그러면 트랜잭션 로그에 변경이력이 남게될 것이다. create table a (a varchar(100), b varchar(100)); insert into a values (replicate('A', 100), replicate('A', 100)); 위와 같이 입력을 하면 전체백업을 받은 이 후 데이터의 변경이 일어났다. 이제부터 복원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1. 복원방법_1 DB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복원 ->..

[ms-sql] ms-sql 새로운 서버에 데이터베이스 복원

ms-sql에서 받은 백업을 새로운 서버에 복원을 한다고 할 때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전체백업 DB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백업 전체백업을 받는다. 2. 복원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왔다. 데이터베이스 마우스 우클릭 -> 데이터베이스 복원 선택 일반 탭에서 백업파일(.bak)을 선택한다. 백업파일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추가가 된다 이 후 '파일'탭으로 가서 꼭 복원하고자 하는 위치를 잘 보고 지정을 해준다 (매우 중요) 확인을 누르고 복원을 완료한다.

[ms-sql] ms-sql 복원방법

일단 ms-sql의 기본 복원 순서를 살펴보자 1. 기본 복원 순서 1-1. 트랜잭션 로그 꼬리 백업 1-2. 마지막 전체 백업을 복원 1-3. 그 이후로 받은 마지막 차등 백업을 복원 1-4. 그 이후로 받은 모든 로그 백업을 복원 (마지막은 1-1.에서 받은 마지막 트랜잭션 로그 꼬리백업을 복원) 위 순서로 복원을 한다. 백업받는 방식 별로 복원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 전체백업만 하는 경우 복원 2-1 복구모델이 '전체'라면 우선 로그 꼬리 백업을 받는다 (복구모델이 '전체'인 경우에 한번도 로그를 백업 받은 적이 없다) 2-2 가장 최근 '전체백업'을 복원(norecovery)함 (로그 꼬리 백업이 없다면 recovery옵션 사용) 2-3 '로그꼬리백업'을 받았다면 이것을 복원(recovery)함..

[ms-sql] ms-sql 복원 옵션

ms-sql 의 복원 옵션인 RECOVERY, NORECOVERY옵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RECOVERY 백업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복원할 때 RECOVERY옵션을 사용하면 복원이 된 후 DB가 online상태로 바뀐다. 즉 사용자가 엑세스 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full백업을 받은 후 차등백업파일을 받아야 한다고 가정하고, full백업을 복원할 때 RECOVERY옵션을 지정하게 되면 복원이 되어 사용자가 접근을 할 수 있고 차등백업을 복원할 수 없다. 따라서 RECOVERY옵션은 가장 마지막 백업 파일 복원 단계 에서만 지정을 해준다. 2. NORECOVERY 복원할 백업 파일이 더 있는 경우NORECOVERY옵션을 지정해 준다. RECOVERY옵션..

[ms-sql] ms-sql 백업압축

ms-sql 의 압축백업 * 장점 :압축 백업을 수행하면 백업과 복원의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며, 백업 파일 크기도 상당히 줄어듦 * 단점 : 압축을 위해 cpu 사용량이 다소 증가하는 단점이 있음 ※ 서버설정을 통해 일반백업, 압축백업을 선택할 수 있음 (서버설정으로 무조건 압축되게 할 수 있음) 1. 압축백업 압축백업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DB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백업 백업 옵션 탭에서 백업압축설정을 '백업압축'을 설정해 준다. 2. 서버설정 변경 (백업할 때 무조건 압축) DB서버 마우스 우클릭 -> 속성 데이터베이스 설정 탭에서 '백업압축' 체크박스를 체크합니다 백업받을 때 default로 압축을 하도록 서버 설정을 변경한것입니다.

[ms-sql] ms-sql 수동 백업 방법

ms-sql 에서 백업전략대로 자동 백업을 받는 것이 아닌, 수동으로 백업을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전체 백업 * 전체 백업이 백업의 시작이다. * 전체 백업 후 차등백업, 트랜잭션 로그 백업이 가능하다. * 데이터베이스가 큰 경우 백업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DB마우스 우클릭 -> 태스크 -> 백업 - 복사전용백업 전체백업은 이후에 받아지는 차등백업에 영향을 주고, 트랜잭션 로그 백업 또한 이후에 받아지는 로그 백업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그 이후의 백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복사 전용 백업'을 체크하고 받아야한다. 미디어옵션 에서는 기존 백업파일과 독립적인 이름을 만들고 INIT옵션을 주도록한다 INIT옵션은 '기존 백업 세트에 모두 덮어쓰기'이다. 백업 옵션의 백업 세트..

[ms-sql] ms-sql 백업방법

ms-sql의 다양한 백업방법 1. 기본 백업방법 * 전체 백업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데이터파일을 백업받고, 백업이 진행되는 동안 기록된 트랜잭션 로그를 백업한다. (백업이 끝난 시점의 데이터베이스가 백업된다) * 차등 백업 가장 마지막 전체 백업 이후에 변경된 데이터만을 백업받는다. * 트랜잭션 로그 백업 ldf에 있는 트랜잭션 로그 파일을 백업받고 로그를 지운다. * 로그 꼬리 백업 현재 활성화된 로그, 즉 백업되지 않은 트랜잭션 로그를 백업한다. (*로그 꼬리 : 아직 백업받지 않아서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는 활성화된 로그) 2. 추가 백업방법 * 파일/파일그룹 백업 특정 파일 또는 파일그룹에 포함된 데이터파일만을 백업한다. * 부분 백업 파일 그룹중에서 primary파일 그룹과 읽기/쓰기 속..

[Oracle] oracle drop user시 ORA-06904 발생 해결

Oracle에서 사용자 삭제 (drop user)할 때 ORA-06904 : 순환 SQL레벨 1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라는 애러를 마주 할 수 있다. 1. 애러 발생원인 해당 사용자를 삭제하려면 사용중인 session 또는 resource를 반납해야 삭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sys계정이라도 삭제하려는 사용자의 resource를 강제로 반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삭제하려는 계정에 resource와 session을 반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후 삭제한다. 2. 애러 해결방법 sysdba접속 sqlplus "/as sysdba" 삭제하려는 계정에 resource와 dba권한 부여 grant resource, dba to 사용자; 해당계정 삭제 drop user 사용자;

728x90
반응형